민중의소리 긴급좌담회 “한국, 원전 안전지대 아니다” 한목소리

전문가들, “일본의 서해안 지진 때는 한국 원전도 치명타”
긴급좌담회 “한국, 원전 안전지대 아니다” 한목소리
고희철 기자 khc@vop.co.kr ㅣ 입력 2011-03-15 03:32:05 / 수정 2011-03-15 08:29:09

간담회 시작에 앞서 일본 지진 희생자를 추모하며 묵상하고 있는 참석자들. 왼쪽부터 사회자 김현우 진보신당 녹색위원장,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 한재각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부소장,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 ⓒ민중의소리

일본 지진과 쓰나미 사태가 원자력발전소 폭발과 방사능 물질 누출이라는 초대형 재난으로 치닫는 가운데 한국의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우리 정부의 무분별한 원전 증설 정책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에너지정의행동과 진보신당 녹색위원회가 공동 개최한 긴급좌담회가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사고, 진단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14일 오후 8시에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열렸다. 발표자로는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 한재각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부소장이 나섰다.

“일본 원전 알려진 것보다 매우 심각한 상태일 수 있어”

먼저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가 후쿠시마 원전의 현재 상황을 개괄적으로 정리했다.

“후쿠야마 제1원전 여섯 기 가운데 4~6호기는 마침 정기 점검으로 가동하지 않고 있었다. 가동 중이던 3기는 모두 위험한 상황이다. 1, 3호기에 해수를 냉각수로 투입했다는 것은 한 기에 수 조 원 하는 원전을 포기한다는 것이다. 2호기 역시 격납용기에 구멍을 뚫어 증기를 강제로 빼낸다는 하는데 역시 원전을 다시는 못 쓰게 된다. 그만큼 다급하고 위험한 상태다.”

발언하고 있는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우)와 김현우 진보신당 녹색위원장 ⓒ민중의소리

이어 이 대표는 언론에 알려진 것보다 후쿠시마 원전 상황이 더욱 심각한 상태일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이 대표는 원전 내부의 폭발을 막기 위해 강제로 빼내고 있는 증기는 단순한 수증기가 아니라 ‘방사능 증기’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원전에서 나온 증기는 원자로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냉각재로 쓰이면서 이미 방사성 물질에 닿아 이를 함유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함유량을 측정해 봐야겠지만 방사능 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증기로 인한 피폭 위험이 따른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 대표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방사능 물질 누출 관련 데이터를 세세하게 공개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일본 반핵운동 단체들은 정부 발표보다 훨씬 높은 측정치를 내놓고 있다. 따라서 더욱 많은 측정치가 공개돼야 일본 국민은 물론 주변국도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 역시 “방사성 물질은 비록 안전 기준치 밑이라 해도 장기간에 걸쳐 인체에 해를 주고 암을 일으킨다는 것이 의료계의 연구 결과”라고 우려했다.

우 실장은 허용 기준치 이하의 방사선도 결코 안전하지 않다고 경고했다.

“엑스레이 한 번 찍을 째 쬐는 방사선이 80μSv(마이크로시버트)인데 원전에서 4km 떨어진 곳에서 10000μSv가 측정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는 엑스레이 12장을 한꺼번에 찍는 수준이다. 임산부가 엑스레이를 찍으면 4주 미만의 태아는 생명이 위험할 수 있고, 4주 이상이면 기형이 우려된다. 때문에 미국 소아과학회는 어린이에게 CT를 찍지 말라고 권고한다. 아주 낮은 수준의 방사성에 노출돼도 수십 년 동안 인체에 남아 암을 일으킬 수 있다. 1979년 미국 드리마일 원전 방사선 누출 사고나 1986년 러시아 체르노빌 원전 폭발 사고 이후 지금도 인체에 끼치는 영향을 추가로 집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본 정부가 국민들의 과도한 불안을 우려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여러 지점의 방사능 수치를 정확히 공개하지 않는 것은 문제”라고 한목소리로 지적했다.

“동해안 쓰나미 발생할면 한국 원전 안전한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제기되는 ‘한국은 과연 안전지대인가’라는 의문에 전문가들은 지나친 낙관을 경계했다.

사고 지점이 일본 동해안이고 바람이 태평양 방향으로 불고 있어 방사능 오염 우려는 일단 태평양과 미국 쪽에서 높아지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과 160km 떨어진 미군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에서 미군 17명이 피폭당하고, 헬기 세척이 필요한 상태임이 14일 밝혀졌다. 미국은 캘리포니아 등 서해안 지역으로 일본 방사능 오염물질이 날아올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우 실장은 “체르노빌 사고로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400배에 달하는 방사능 물질이 유출됐다”며 “사고 36시간 만에 현장에서 1100km 떨어진 스웨덴에서 방사능 낙진이 발견됐고 심지어 일본까지 방사능 물질이 날아왔다”고 말했다. 방사능 물질이 소량이라도 날아오지 않는지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를 통해 한국 원전의 안전성도 다시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재각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부소장은 “비등형인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 비해 가압형인 한국이 상대적으로 안전할 수도 있다”면서도 “그렇다고 일본과 같은 사고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대표도 “일부 언론에서 일본은 비등형이라 위험하다고 하는데 비등형이 못 쓸 기종이 아니다”라며 “일본 핵발전산업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후쿠시마 원전 기종인 ABWR(Advanced Boiling Water Reactor)은 일본의 최신 수출 주력기종”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대표는 “원전 사고 확률이 몇 백만 분의 일이라고 해도 여러 기의 원전이 계속 운영되면 모든 조건과 상황을 통제하기 힘든 상황이 누적되게 된다”며 “확률이 미미하지만 매주 로또 1등 당첨자가 나오는 이치와 같다”고 경고했다. 무시무시한 자연재해 앞에 어떤 기종의 원전이나 안전 설계도 무력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비등형(BWR:Boiling Water Reactor) 원자로는 명칭 그대로 핵반응이 일어나는 원자로 용기 내에서 냉각재를 끓여 증기를 생산하는 구조로 화력발전소와 원리상 동일하다. 노심에서 발생된 열에서 생산된 증기와 함께 방사성물질이 격납용기 밖의 터빈으로 들어가게 된다. 후쿠시마 원전의 ABWR(Advanced Boiling Water Reactor) 원자로는 BWR의 개량기종으로 원리는 똑같다.
가압형경수로원자로(PWR:Pressurized Water Reactor)는 월성 원전을 제외한 우리나라 모든 원전이 채택하고 있다. PWR은 3개의 독립적인 냉각계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냉각계통은 서로 완전히 분리돼 있다.
일부 언론의 주장과 달리 BWR과 PWR이 수증기를 만드는 방식의 차이가 있을 뿐, 어느 것이 더 안전하다거나 더 위험하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왼쪽부터 이헌석 에네지정의행동 대표, 한재각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부소장,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 ⓒ민중의소리

우 실장은 “언론이 ‘한국의 원전은 안전한가’라는 문제를 정면으로 다뤄야 한다”며 “’과연 원전을 더 지어야 하나’, ‘일본 서해에 쓰나미가 발생하면 한국 동쪽의 원전은 문제가 되지 않을까’ 등을 심층 보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참석자들은 일본은 물론 국제적으로도 원전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견하며, 작년 UAE 원전 수주 후 ‘원전 르네상스’를 외치고 있는 한국 정부의 원전 정책도 재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2030년까지 11기의 원전을 추가 건설하겠다는 정부의 계획 역시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이번 사고 전부터 한국은 핵발전소 관련 사안이 너무 많은 상황”이라며 “신규 원전 건설도 문제고, 건설중인 경주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방폐장)은 물이 줄줄 새고 있다”고 폭로했다.

한 부소장은 “기후변화 운동 진영에서 원자력은 뜨거운 감자”라며 “기후변화가 너무 심각하니 에너지를 만들며 온실가스를 내는 화석에너지 대신 원전을 지지해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 부소장은 “기후변화를 막는다는 명분으로도 원전은 전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 이번 사고로 드러났다”며 “온실가스를 안 낸다고 핵발전소를 안고 살아갈 수는 없다”고 말했다.

간담회가 진행되는 중에도 휴대폰 문자를 통해 후쿠시마 원전 2호기 연로봉이 수면 위로 노출됐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인터넷 뉴스와 트위터를 통해서도 시시각각 일본의 다급한 상황이 타전됐다. 신규 원전 유치 경쟁에 뛰어든 강원도 삼척시의 주민들은 일본 원전 사고를 보며 유치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안전 원전’ 신화를 자랑하던 일본의 현재 사태를 보며 “우리나라 원전은 100% 안전하다”는 주장은 공감대를 잃고 있다. 한국 사회와 정부는 우리의 동해와 마주보는 일본의 서해안에서 지진과 쓰나미가 일어날 경우 고리와 울진, 월성 등의 원전은 안전한 지를 묻는 전문가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고희철 기자 khc@vo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