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서 USTR 에 보낸 지재권 관련 의견서

한미FTA 저작권 문제에 관한 한국과 미국 NGO 의견서 (영문)

Korean and US NGOs Position Paper
on the copyright issues in the
Korea-US FTA Negotiation

We strongly oppose the inclusion of the copyright clause in the current FTA negotiati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onsidering the FTA that the United States negotiated with Singapore, Australia, and Chile, and what the United States has been demanding from the Korean government thus far, we assume that the United States will request copyright protection similar to or stronger than the United States copyright laws such as the 1998 DMCA(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However, the DMCA and extending the copyright protection period in the Sonny Bono Copyright Term Extension Act (CTEA) have been under much criticism because it obstructs fair use, science research, technology advancement, and publishing. Furthermore, there are strong concerns about how itimpedes computer security research.  Nonetheless, United States has been imposing their own copyright laws on other countries by adopting laws similar to the DMCA in the FTA. Among them, we cannot allow the extension of the copyright protection period to 70 years or setting the penalty for circumventing the technical measures for protection at the broad level of the laws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these clauses violate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copyright laws.  The United States must stop such demands on the Korean government immediately.

1. Extending the protection period
United States has extended the copyright protection period to 70 years after the death of the creator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CTEA.  Furthermore, the United States has imposed the same protection period in Singapore, Australia, and Chile through the FTA and FTAA negotiations.  The CTEA demands a 20 years extension to 50 year protection provided for in the Berne Convention and TRIPs agreement, which most countries have joined.  However, extending the protection period to 70 years defies the very reason for having a protection period.  The extension will distort the copyright into an permanent right.

Creative works are results of the efforts of the creators.  However, the creation draws up on the cultural legacy left by our predecessors.  Similarly, when the new creation is officially published, the successors will in turn build on them for future creations, resulting in more creative works.  Consequently, the creative worksare part of the cultural legacy of all mankind.  Hence, giving the creator a timeless monopoly on the use is not appropriate.  The very reason of having a protection period is based on the premises that the creation is a cultural legacy.  The limited protection period can protect the creator, thus encouraging creation, as well as enhance the cultural legacy for more creation by entering the work into public domain at the end of the period.

Then what is the appropriate protection period?  The protection period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cultural standard of each country, the purpose of having the protection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The original purpose of copyright protection is to cultivate cultural development in a country through the protection of copyright.  Thus, the determination of the protection period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policies of each individual country.  Therefore, the protection period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ultural standard of each country.  Indeed, trying to set the protection period uniformly through the treaties is inconsistent with this purpose.  When protection periods are set in the treaties, they should be set at the minimum level, and any extensions to the minimum period should be left to the autonomy of each country.

Moreover, when setting the protection period, the fundamental purpose for having the protection period must be consider. The period must be set so that it can encourage creation as well as terminate early enough to bring the creation into the public domain while it still has value. It is meaningless to have public use of creative works when there is no value in using the work.

Creative works takes various forms such as music, art, literature, academic research, software, and architecture.  Accordingly, the protection period needs to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orm.  For example, software needs a shorter protection period compared to literature.  In the case of software, technology progresses at a much faster pace and the cost recovery time is also very short.  Furthermore, 50 years after the death of the creator, there is no benefit to making the software a public good because after such a long time, the software becomes useless.  Hence, protecting software until 50 years after the death of the creator is equivalent to protecting it during the full lifetime of the software.  The protection period must be shortened to have any value in brining the software into the public domain.  Instead extending the protection period by another 20 years will in reality give permanent protection to not only software, but to all creative works.

Hence, the protection period for copyright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each countries cultural standard, the purpose of having the protection period, the objective for legislating the copyright law,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reative work.  It can not be open for negotiations in a trade agreement.   Moreover, the Sonny Bono Copyright Term Extension Act (CTEA) has prevented over 400,000 creative works from entering public domain in the United States.  It is under criticism as infringing on the cultural rights of many people in order to protect the business profit of a few large corporations and has been mocked as the “Mickey mouse law”.  Imposing the CTEA worldwide will further infringe on the rights of all mankind worldwide in order to protect the business interest of a few large corporations.  Therefore, United States must cease such efforts to impose the CTEA worldwide immediately.

2. Demanding a stronger sanctions on circumvention of technical measures
United States is imposing their own laws on technical measures for protection in the copyright laws article 1201 in the FTA to other countries.  United States laws on technical measures for protection of copyright material prohibits acts to circumvent the technical measure for limiting access and to manufacture and provide services or tools for the purpose of circumventing the technical measures to restrict access or use.

However, in the WCT adopted by WIPO, technical measures for protection of copyright material are limited to restricting use.  In the WCT, it repeatedly states that “exercise the right by this Treaty or the Berne Convention” and “acts not allowed by the creator or the law”. Furthermore, according to WCT, access to the creative work is not an act limited by the copyright law.

Hence, United States’ claim that the technical measures that limits access to works must also be protected is beyond the requirements provided in the international treaty and extremely limits the use of creative works.  Prohibiting and punishing acts to circumvent technical measure to access to creative work, even when it does not infringe the copyright, is expanding the scope of copyright laws.  Moreover, such laws will excessively limit fair use of the creative works.  Such position by the United States is more or less imposing heavier burden than the international treaties on FTA partners to protect United States’ interest and forcing the people of the other party to sacrifice their interest for few transnational capital.

3. Demanding the stipulation of temporary reproduction
When computer programs or digital works are used via the computer, or searched, viewed, or transmitted on the Internet, these works are stored temporarily on the computer RAM.  Such stored works go away automatically and are not saved when another command is run or the computer is powered off.  Storage of digital works in the computer RAM are not permanent as saving them in secondary storage devices such as the hard drive.  It is referred to as temporary reproduction or storage to indicate that the stored works go away when the computer is powered off.  Such temporary reproduction on the computer is most commonly seen on the computer RAM, but also occurs on the computer buffer when the works are transmitted over the Internet via streaming technology.  Furthermore, when digital works are transmitted from on-line service providers relaying them over the network, temporary reproduction occurs in the system server or cache server.  Finally, whe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ASP) provide computer programs over streaming technology, the client computer RAM will also temporarily store information on the RAM.

Even in the United States copyright laws, temporary reproduction is not explicitly regulated.  However, the United States has demanded that Korea stipulate temporary reproduction as copying under the copyright law for many years.

Yet, when temporary reproduction is acknowledged as copying, the balance desired by the copyright law between the user and the copyright holder becomes even more biased toward the copyright holder because copyright holders will be able to control even the most typical use as viewing information from public website.  Similar to protecting technical measures to access works, such stipulation will protect the copyright holder’s right to access the works, which is not within the scope given in the current copyright.  Furthermore, temporary reproduction is a by-product of legal use of the creative work.  It does not hold any economic value independent of the legal use, and therefore the regulation of temporary reproduction cannot be justified.  When temporary reproduction is acknowledged as copying, users will be unfairly charged twice.  On the other hand, if the temporary copy is allowed, there is no additional incentive to the creator, and thus it is not in accord with the purpose of acknowledging copyright as exclusive rights.

United States must stop its demands to stipulate temporary reproduction by unreasonably including temporary reproduction as copying.

4. Demand for strict enforcement of the copyright laws
United States has been continuously demanding strict enforcement of the copyright laws such as direct police involvement.  However, Korea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trict enforcement practice that is stricter even than the United States.  We hold that such enforcement practices of the Korean government is harmful to the people’s freedom of expression, freedom to operate a business, and the privacy of the people and must be corrected immediately.  However, if the United States is for strong protection of copyrights, United States government might have something to learn from the Korean government.

In Korea, it is common for the Korean Software Property-right Council, comprised of software development companies, the prosecutor and the police to crack down on copyright infringements in cooperation.  Through such mechanisms, the copyright holders have excessively strong protection on their copyright.  In addition, currently the revision of copyright law being reviewed in the legislator includes provisions to allow the minister of culture and tourism direct administrative control over the deletion and collection of copyright infringements.  The provisions even include measures to fine those who do not comply with the administrative instructions given by the minister.  United States should not demand actions from the Korean government that they themselves do not take in their own country.  Such demands can only be considered as intimidation by those with a stronger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In addition to this, Unites States has been putting pressure on the Korean government using ‘Super 301′. This is a product of United States’ nationalistic conception. More precisely, such actions demonstrate the United States position to protect the interest of the few businesses in their own country at the cost of the cultural rights of all other people worldwide.  This is a total disregard for human rights by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United States must withdraw its unreasonable demands on the copyright protection and stop trying to impose them in the current FTA negotiations with the Korean government.  We strongly oppose the Korean-US FTA that includes the United States’demands on copyright.  If the FTA still moves towards a stronger protection of the copyright and disregards the rights of the users, we have no choice but to fight for the obstruction of the Korea-US FTA.

March 24th, 2006

Endorsement

[NGOs]
Christian Coalition for Media Reform (Korea)
Citizens’ Action Network (Korea)
Cultural Action (Korea)
Dasan Human Rights Center (Korea)
Essential Action (US)
Health Right Network (Korea)
Intellectual Property Left ‘IPLeft’ (Korea)
IP Justice (US)
Korean Progressive Network Jinbonet (Korea)
Korean Federation of Medical Groups for Health Rights (Korea)
  Association of Physicians for Humanism (Korea),
  Association of Korea Doctors for Health Rights (Korea),
  Korea Dentists Association for Health Society (Korea),
  Korea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 (Korea),
  Korean Pharmacists For Democratic Society (Korea),
  Solidarity for Worker’s Health (Korea)
LaborNet in South Korea (Korea)
Media Center Mediact (Korea)
MINBYUN-Lawyers for a Democratic Society Publications & Public Relations Committee (Korea)
People before Profit (Korea)
Public Pharmaceutical Center (Korea)
Solidarity for Peace and Human Rights (Korea)
Won Buddhism Committee for Human Rights (Korea)

[Individuals]
Do-Hyung Kim, Lawyer, Editorial board member of Monthly Networker (Korea)
Eun-Woo Lee, Lawyer of Horizon Law Group (Korea)
Margaret Chon, Professor and Dean’s Distinguished Scholar, Seattle University School of Law (US)
Peter Suber, Research Professor of Philosophy, Earlham College (US)
Sasha Costanza-Chock, PhD Student, Annenberg School for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
Seok-Man Hong, Journalist, People Power of RTV (Korea)
Seong-Tae Hong, Professor of Sangji University (Korea)
Young-Joo Yoo, Chief Editor of People’s Media ‘Chamsaesang’ (Korea)
[첨부 2] 한미FTA 저작권 문제에 관한 한국과 미국 NGO 의견서 (국문)

우리는 현재 한국과 미국간에 진행중인 FTA협상에서 저작권 조항이 포함되는 것에 대해 강력히 반대한다.
미국이 싱가포르, 호주, 칠레 등과 체결한 자유무역협정문과 그간 미국의 한국 정부에 대한 요구를 고려할 때 이번 한미 FTA의 협상 과정에서 미국 정부는 한국 정부에 1998 DMCA(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등 미국 저작권법에 준하거나 그 이상으로 강력한 저작권 보호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DMCA 및 보호기간 연장에 관한 소니보노법은 미국 내에서도 저작물의 공정이용을 해치고, 과학연구, 기술발전, 출판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상당한 비판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 보완 연구(computer security research)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강한 우려를 받고 있는 악법이다. 그런데도 미국은 자유무역협정에 DMCA의 것과 유사한 규정을 삽입하여 자국의 저작권법을 상대국에 강요해 왔다. 그 중에서도 저작권 보호기간을 70년으로 연장하거나 권리자의 기술적 보호조치를 회피하는 행위를 미국법과 같은 수준으로 지나치게 넓게 처벌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저작권 제도의 본질을 뒤흔든다는 점에서 허용될 수 없으며, 미국은 한국 정부에 대한 그러한 요구를 즉각 중단하여야 할 것이다.

1. 보호기간 연장 요구에 대하여

미국은 소니보노법을 제정하여 저작권 보호기간을 저작자 사후 70년까지 연장하는 한편, 싱가포르, 호주, 칠레와의 FTA, FTAA에서 저작권 보호기간을 소니보노법과 일치시켰다. 이는 현재 대부분의 국가가 가입되어 있는 베른협약과 트립스협정에서 정한 보호기간을 20년 더 연장한 것이다. 그러나 보호기간의 70년 연장은 저작권 보호기간을 두는 취지 자체를 몰각시키며 저작권의 성질을 영구적 권리로 변질시키는 것이나 다름없다.

저작물은 저작자의 창작적 노력의 소산이지만 저작자는 저작물을 창작함에 있어서 선인들이 쌓아 놓은 문화적 유산을 바탕으로 하게 되고, 그가 창작한 저작물은 그것이 공표됨에 따라 다시 후세의 사람에 의하여 이용되게 된다. 그로 인하여 더 많은 새로운 저작물을 낳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렇듯 저작물은 인류공통의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저작권자에게 아무런 시간적 제한없이 저작물의 독점적 이용권을 부여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저작권 보호기간을 두는 취지도 바로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를 보호하여 창작을 유인함과 동시에 그 기간이 지난 후에는 저작물을 퍼블릭 도메인에 편입시켜 새로운 창작의 토대를 풍부하게 하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의 보호기간이 타당한가? 보호기간을 정함에 있어서는 각 국의 문화적 수준, 보호기간을 정한 취지, 저작물의 성격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저작권 보호의 본래 목적은 저작권 보호를 통한 각 국의 문화발전에 있으므로 보호기간의 설정도 각 국의 문화 정책적 판단이 필요한 영역이다. 따라서 저작권 보호기간은 각 국의 문화 발전 수준에 따라 달리 정하여 지는 것이며, 조약을 통해 각국에서 일률적인 보호기간을 정하도록 하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그러므로 조약에 의하여 보호기간을 정하더라도 각 국간 최소보호기간을 정하고 그 외의 연장 여부는 각 국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보호기간을 정하는 데 있어서는 그 보호기간을 둔 근본적인 취지를 고려하여, 저작권자에게 충분한 창작적 동기를 부여할 수 있으면서도 저작물이 공중에 의하여 이용될 가치가 있는 기간 내에 저작권 보호기간이 만료될 필요가 있다. 이용될 가치가 없어져 버린 저작물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는 것은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저작물은, 음악, 미술, 문학, 학술, 소프트웨어, 건축 등 분야와 형식이 다양하여 보호기간을 각기 달리 설정할 필요가 크다. 가령 소프트웨어는 문학저작물보다는 더 단기간만 보호하여야 한다. 소프트웨어의 경우 기술주기가 단축되어 있어서 이윤의 회수기간도 매우 짧고 또한 저작자 사후 50년간이라는 장기간이 지나고 나서는 전혀 필요없는 것이 되어버려 퍼블릭도메인으로 편입시킬 실익마저 잃게 될 것이다. 그러니 소프트웨어를 저작자 사후 50년간 보호한다는 것은 보호기간의 제한이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보호기간을 단축해야 한다. 그런데 오히려 다시 20년간 연장한다는 것은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다른 저작물에 있어서도 보호기간을 영구화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결국 저작권 보호기간은 각 국이 개별적으로 자국의 문화적 수준, 보호기간을 정한 취지, 저작권법의 입법 목적, 저작물의 성격을 고려하여 결정할 문제이며, 무역협정의 협상 대상이 될 수 없다. 더구나 미국의 ‘소니보노 저작권 연장법’은 미국 내에서 약 40여만개의 저작물이 공공자산으로 전환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소수 대기업의 산업적 이익은 도모하기 위해 대다수 사람들의 문화적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는 비판과 ‘미키마우스’법이라는 조롱을 받기도 하였다. 미국이 소니보노법을 전세계적으로 관철하려는 것은 미국의 소수 대기업의 산업적 이익을 위해 미국 민중은 물론이고 전세계의 민중까지 희생시키는 것이므로, 미국 정부는 그러한 시도를 즉각 중단하여야 한다.

2. 기술적 보호조치 회피에 대한 제재 강화 요구에 대하여

미국은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한 자국 저작권법 제1201조를 자유무역협정에서 그대로 상대국에 강요하고 있다. 미국법에서는 저작물에 대한 접근통제적 기술적 보호조치를 직접 우회하는 행위와 접근통제적 기술적 보호조치 및 이용통제적 기술적 보호조치를 우회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장치나 서비스 등을 제조, 제공하는 행위 등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지적재산권기구 저작권조약(WCT)에서 보호하는 기술적 보호조치는 이용통제적 기술적 보호조치에 제한된다고 보아야 한다. WCT에서는 “이 조약 또는 베른협약상의 권리의 행사”라는 문언과 “저작자가 허락하지 아니하거나 법에서 허용하지 아니하는 행위”라는 문언 등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반면 저작물에의 접근은 저작권법상 제한되지 않은 행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근통제적 기술적 보호조치까지 보호해야 한다는 미국의 요구는 국제조약에서 요구되는 수준을 넘어서 지나치게 저작물의 이용을 제약하는 것이다. 저작물에 대한 접근은 저작권 침해를 구성하지 아니하는데도, 접근통제적 기술적 보호조치 우회행위를 금지, 처벌한다면 이는 저작권의 범위를 사실상 확대하는 것이 된다. 뿐만 아니라 저작물 이용자의 공정이용을 심각하게 제약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미국의 태도는 지적재산권에 있어서 우위에 있는 자국의 이익만을 보호하고자 자유무역협정의 상대국에게 국제조약 이상으로 과중한 의무를 부담시키는 것이며, 상대국 국민으로 하여금 자국 소수 자본가를 위해 희생할 것을 강요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3. 일시적 복제 개념 명시 주장에 대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디지털화된 저작물 등을 컴퓨터를 통하여 이용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검색, 열람 또는 전송하는 경우, 컴퓨터의 메모리(RAM)에 저작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저작물은 다른 명령을 실행시키거나 또는 컴퓨터의 전원을 끄는 경우에 저장이 되지 않고 자동적으로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컴퓨터 메모리에의 저장은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보조기록장치에의 저장과는 달리 영속적으로 저장되지 않고 컴퓨터의 전원을 끄는 순간 사라진다는 의미에서 이를 일시적인 복제(temporary reproduction) 또는 저장이라고 한다.
이러한 일시적 복제는 컴퓨터를 이용할 때 컴퓨터 RAM에서 일어나는 저작물 저장이 가장 흔한 형태이지만 인터넷상에서 저작물을 스트리밍 형태로 전송할 때에 컴퓨터 버퍼에도 일어나고,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하여 저작물을 송신하는 경우에 이러한 송신을 중계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시스템 서버 또는 캐싱 서버 등에도 일어난다. 또한, 컴퓨터프로그램 서비스제공자(Application Service Provider : ASP)가 컴퓨터프로그램을 스트리밍 형태로 서비스하는 경우에도 이용자 컴퓨터의 RAM에 일어난다.

미국 저작권법도 일시적 복제를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나, 미국 정부는 한국에 수년간에 걸쳐 일시적 복제를 저작권법상 복제로 규정할 것을 요구하여 왔다.

그러나 일시적 복제를 복제로 인정한다면 저작권법이 추구하여야 할 저작권자와 이용자의 균형은 저작권자쪽으로 더욱 편향될 수밖에 없다. 공개된 웹사이트의 열람과 같은 가장 일반적인 행위도 저작권자에 의하여 통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접근통제적 기술적 보호조치의 보호에서와 마찬가지로 저작물에 대한 접근 통제권한을 저작권자에게 인정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결국 저작권의 범위를 넘어서까지 저작권자를 보호하게 되는 이상한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일시적 복제는 이미 적법하게 저작물을 이용하는 행위에 수반되는 부수적인 현상에 불과하고 그 자체로서는 독립적인 경제적 가치가 없으므로 이를 통제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 일시적 복제를 복제로 인정하면 이용료를 이중으로 지급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일시적 복제를 인정하더라도 저작권자에게 저작물을 창작할 동기가 추가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배타적 권리를 인정하는 저작권법의 목적과도 상관이 없다.

미국은 일시적 복제를 무리하게 복제의 개념으로 편입시켜 저작권자의 이익만 옹호하려는 노력을 중단하여야 한다.

4. 법집행 강화 요구에 대하여

미국은 한국에 대하여 저작권법의 강력한 집행을 위하여 경찰이 직접 단속에 나서야 한다는 등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미국 정부 이상으로 강력한 저작권법 집행관행을 확립해 가고 있는 단계이다. 우리는 이와 같은 한국 정부의 단속행위가 국민의 표현의 자유, 영업의 자유, 프라이버시를 해하므로 하루 빨리 시정되어야 할 것이라는 입장에 서 있다. 그러나 미국 정부와 같이 저작권의 강력한 보호를 요구하는 입장에서라면 미국 정부는 한국 정부에게 오히려 배울 것이 많아 보인다.

한국에서는 컴퓨터프로그램의 경우 소프트웨어 개발기업들을 회원사로 하는 한국소프트웨어 저작권협회와 검,경찰이 합동 단속에 나가는 예가 비일비재하며, 이를 통해 컴퓨터프로그램 저작권자들이 지나칠만큼 강력히 보호받고 있다. 또한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저작권법 개정안의 경우 문화관광부 장관이 저작권침해물에 대한 삭제, 수거 등 행정처분을 바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행정처분에 불응시에는 과태료의 제재까지 내려지게 되어 있다. 미국 정부는 자국내에서도 하지 않는 일을 한국 정부에 대해서만 요구해서는 않된다. 이는 국제관계에서 힘의 우위를 이용하여 행하는 일종의 폭력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미국은 슈퍼301조를 내세워 한국 정부에 대하여 저작권의 보호를 강화하라는 통상압력을 가해왔다. 이는 미국의 국수주의적 발상의 산물이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자국의 소수 자본의 이해를 위해서 다른 국가의 민중들의 문화적 권리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 미국정부의 몰인권적 태도를 드러내는 것이다.
미국 정부는 한국 정부에 대한 그간의 저작권 관련된 무리한 요구를 철회하고, 이번 한미FTA 논의 과정에서 그러한 요구를 관철하려는 시도를 중단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그간의 미국의 요구가 포함된 한미FTA에 대하여는 강력히 반대한다. 만일 우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미FTA가 저작권을 더 강화하고 이용자의 권리를 무시하는 방향으로 편향된다면 우리는 한미FTA 저지를 위한 투쟁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

2006. 3. 24

[연명 단체]
건강세상네트워크
건강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공공의약센터
다산인권센터
문화연대미디액트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언론개혁기독교연대
원불교인권위원회
이윤보다 인간을
정보공유연대 IPLeft
진보네트워크센터
평화인권연대
한국노동네트워크
함께하는시민행동
Essential Action [US]
IP Justice [US]

[연명 개인]
김도형 (변호사, 월간 네트워커 편집위원)
유영주 (언론인, 민중언론 참세상 편집장)
이은우 (변호사, 법무법인 지평)
홍석만 (언론인, RTV 피플파워)
홍성태 (교수, 상지대)
Margaret Chon (Professor and Dean’s Distinguished Scholar, Seattle University School of Law)
Peter Suber (Research Professor of Philosophy, Earlham College)
Sasha Costanza-Chock  (PhD Student, Annenberg School for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