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씨 등 20여 명 옥중단식 돌입
“신자유주의ㆍ삼성에 맞선다”…”구속 노동자 90년대 이후 최다”
2007-12-03 오후 5:20:44
대선과 연말연시를 앞두고 삼성 재벌가의 비리 의혹까지 터져 나오면서 어수선한 정국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사회에서 차단된 수감자 20여 명이 옥중 단식을 벌이고 있다.
”신자유주의, 삼성재벌, 대선 등 2007년 대한민국을 배회하고 있는 세 가지 유령”에 맞선 단식이다. 김성환 삼성일반노조 위원장이 지난 11월 19일부터 시작한 단식에 3일 20명이 동조 단식에 들어가면서 수감자들의 옥중 단식이 확산되고 있다.
구속노동자후원회, 민가협양심수후원회 등 ‘구속노동자 석방과 사면·복권을 위한 공동행동’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무현 정권은 퇴임 전에 자신이 구속시킨 모든 양심수를 석방하라”고 촉구했다.
”‘자신을 굶기는 행위’라도 하지 않으면 징역살이 할 수 없을 것 같아”
▲ 대선과 연말연시를 앞두고 삼성 재벌가의 비리 의혹까지 터져 나오면서 어수선한 정국이 연일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사회에서 차단된 수감자 20여 명이 옥중 단식을 벌이고 있다.ⓒ프레시안
첫 시작은 올해 전태일노동상 수상자로 선정되기도 한 김성환 위원장과 지난해 여름을 시끄럽게 했던 포항건설노조 파업으로 구속 수감된 김봉태 전 선봉대장이 열었다. 이어 지난해 노사관계 법제도 선진화 방안을 추진한 것을 비난하며 한국노총을 점거했다 구속된 변외성 전국해고자복직투쟁위원회 전 집행위원장이 11월 26일부터 단식에 들어갔다.
변외성 씨가 단식에 들어간 날 이들은 ‘옥중투쟁위원회 대정부 투쟁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이 선언문에서 “엄혹한 정세에 ‘자신을 굶기는 행위’라도 하지 않으면 그 한이 골수에 맺혀 징역살이를 할 수 없을 것 같아 옥중의 삶들이 대동단결하여 모든 노동자, 민중의 평등한 존엄과 가치를 지키기 위해 무기한 단식 농성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들은 △비정규법 철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저지, 노사관계로드맵 폐기, △삼성재벌 해체와 이건희 구속 수사 △구속 노동자를 비롯한 양심수 전면 석방 등 11개 요구 조건을 내걸고 있다.
3일부터 단식에 결합한 수감자는 포항건설노조 조합원 8명, 타워크레인노조 조합원 5명, 뉴코아-이랜드노조 조합원 2명, 한미 FTA 반대 집회 구속자 3명 등이다.
공동행동은 “단식에 참가하는 사람들의 정확한 숫자를 계속 확인 중으로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노태우 정권 이후 구속노동자 최다…70% 이상이 생계형 비정규직”
▲ 이들은 오는 12월로 예정된 사면에 이들 양심수의 전면 석방을 촉구하고 있다. 김성환 위원장의 부인인 임경옥 씨는 “이것이 노무현 정권의 마지막 기회”라며 “참회하는 심정으로 양심수를 석방하라”고 촉구했다.ⓒ프레시안
공동행동은 “20여 명의 수감자가 동시에 벌이는 단식은 80년대 민주화 운동 시절 이후 처음”이라고 밝혔다. 그만큼 노무현 정권의 ‘약자에 대한 탄압’이 유독 심하다는 얘기다.
지난 2003년부터 노무현 정권에서 구속된 노동자는 11월 30일 현재 모두 1037명으로 김영삼 정권의 632명, 김대중 정권의 892명에 비해 현격히 많다. 노태우 정권에는 1973명이었다.
권오헌 민가협 양심수후원회 회장은 “노무현 정권의 구속 노동자가 노태우 정권 이후 최다”라며 “더 나은 사회가 됐다면서 이렇게 많은 사람이 구속되고 있는 것이 과연 민주주의 사회냐”고 비판했다.
특히 이들 가운데 70% 이상이 비정규직이다. 이광열 구속노동자후원회 사무국장은 “2005년 울산건설플랜트노조, 2006년 포항건설노조, 2007년 뉴코아-이랜드노조 등에서 다수의 구속자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생계형 파업 등에 대한 구속 등 정부의 과잉대응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말이다.
때문에 이들은 오는 12월로 예정된 사면에 이들 양심수의 전면 석방을 촉구하고 있다. 김성환 위원장의 부인 임경옥 씨는 “이것이 노무현 정권의 마지막 기회”라며 “참회하는 심정으로 양심수를 석방하라”고 촉구했다.
공동행동은 이날 양심수 석방을 촉구하는 1만 여 명의 서명이 담긴 용지를 청와대에 제출했으며 이날부터 일주일 간 청와대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여정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