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 독재 타도…불통 정부…궁핍해진 삶. ‘6·10 화두의 진화’

독재 타도…불통 정부…궁핍해진 삶 ‘6·10 화두의 진화’
    안홍욱 기자 ahn@kyunghyang.com

ㆍ24년 전 대학생은 독재 타도… 아들딸은 지금 ‘삶의 문제’에

‘6·10’이 진화하고 있다. 독재정권 타도의 상징이었던 1987년 6·10항쟁은 2008년 민주주의 위기에 맞서는 비폭력 촛불시위로 나타났다. 2011년 6·10은 고액 대학등록금으로 촉발된 내 삶의 문제 해결로 화두가 모아지고 있다. 거리에 모인 학생·시민들의 목마름과 고통이 ‘독재→불통→삶’의 위기로 바뀐 것이다.

87년 6월항쟁의 구호는 ‘호헌 철폐’ ‘독재 타도’였다. 서울대 박종철군이 고문치사로 숨지고 연세대 이한열군이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쓰러지면서 대학생과 넥타이부대가 거리로 쏟아진 것이다. 그해 6월10일 전국 18개 도시에서 ‘박종철군 고문치사 조작·은폐 규탄 및 호헌 철폐 국민대회’가 열렸다. 권위주의 정권에 박탈당한 정치적 기본권과 자유를 되찾자는 요구였다. 그날은 한국 민주주의의 전환점이었다.

그로부터 21년이 흐른 2008년 6월, 민주주의 역주행에 대한 저항 물결이 다시 일었다. 이명박 정부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강행하고, ‘고소영 인사’와 ‘한반도 대운하’ 등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면서다. 남녀노소가 비조직적·비폭력적인 촛불 물결을 이뤘다. ‘촛불소녀’는 자발적이고 발랄·유쾌한 저항의 상징으로, 광화문에 컨테이너로 쌓은 ‘명박산성’은 불통의 증거로 매김됐다.

6월10일 전국 40여곳에서 이뤄진 촛불행진에는 100여만명이 참여했다. 당시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만난 주부 김언영씨(33)는 “민주적 절차로 뽑힌 대통령일지라도 이렇게까지 국민의사를 무시하는 정책을 한다면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다시 3년이 지난 6월, 시민들은 ‘나의 궁핍해진 삶’을 말하고 있다. 21세기한국대학생연합(한대련) 주도로 지난달 29일부터 서울 광화문에서는 촛불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대학생들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비싼 등록금의 조건 없는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 등록금이 취업난-비정규직-늦어지는 결혼-저출산으로 얽히는 구조적 악순환의 출발점이라는 것이다.

30~50대 시민도 합세하면서 삶의 문제는 세대·계층을 뛰어넘는 이슈와 소통로가 됐다. 9일 광화문 촛불집회에서 만난 황장하씨(24·건국대)는 “87년 6·10 때 선배들은 ‘파쇼 타도’를 외쳤지만, 그 아들딸인 우리들은 ‘최저임금’에 관심 갖고 연애·결혼·출산을 포기하는 ‘삼포 세대’가 됐다”고 말했다. 87년 6월항쟁에서 민주주의 절차는 어느 정도 실현됐지만 민생의 위기, 사회경제적 민주주의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항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