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번째 환자, 그는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병실까지 환자를 이송한 55세의 노동자였다. 이 노동자는 6월2일부터 열과 근육통이 있었다고 한다. 그래도 그는 일을 했고 또 해야 했다. 언제 해고될지 모르는 이른바 비정규직 용역 노동자, 즉 간접고용 노동자였기 때문이다.
그는 애초 삼성병원의 관리 명단에도 없었고 또 정부의 관리대상에도 없었다. 그가 관리대상이 아니었다는 점은 ‘공중방역상의 허점’이다. 이 때문에 삼성서울병원이 ‘특단의 조치’를 내려 부분 폐쇄되었다. 그러나 그가 관리대상이었어야 했고, 격리대상이었어야 한다는 사실 이전에, 그는 그의 가족의 한 사람이었고, 보호받아야 할 시민이었고, 병원의 노동자였다. 그런데 아무도 그를 걱정해주고 보호해주지 않았다.
열이 나고 몸이 아팠으면 메르스가 아니었더라도 그는 쉬어야 했다. 그러나 9일 동안 그는 아픈데도 일을 했고 그가 쓰러질 때까지 아무도 그를 주목하지 않았다. 그는 병원에서, 직장에서, 사회에서 잊혀진 존재였다.
삼성서울병원의 비정규직은 서울시 발표로는 2944명이라고 한다. 삼성서울병원이 이제라도 ‘전 직원 8440명을 대상으로 증상 조사를 하고 하루 두 차례씩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니 다행이다. 나는 전 직원의 35%가 비정규직이라는 사실이 더 놀랍다.
다른 병원도 비정규직이 너무 많다. 보건의료노조의 2009년 조사에 따르면 소속 병원 노동자들 중 21.5%가 비정규직이었고 이중 3분의 2인 13.5%가 137번째 환자와 같은 간접고용 노동자였다. 간접고용, 즉 137번째 환자는 삼성서울병원 직원이 아니었다. 메르스 환자가 되어서야 그는 삼성서울병원 직원이 되었다.
신종플루 유행 때 많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백신 접종대상에서도 제외되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차별을 받지 않아야 하고 정규직이 되어야 환자도 안전하다는 노동조합의 외침은 외면되었다. 그리하여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방역상의 허점’이 되었다. 잊혀진 사람들이 이제 자신도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주장한다.
중국동포 간병인 메르스 환자. 동탄성심병원에서 간병인으로 일하던 이 환자는 ‘9일 격리되기까지 10여일간 서울시내 여러 곳을 활보’했다고 비난받았다. 또 하나의 ‘방역상의 허점’이란다. 그러나 이 중국동포에게 격리조치는 무슨 의미였을까. 그에게 주어지는 돈은 1인 가족이면 40만9000원이다. 그나마 ‘체류 외국인’에게 생계비 지원이 이루어진 것은 지난 16일부터였다.
64세에 간병 일을 해야 했던 중국동포에게 격리조치는 무슨 의미였나. 지금도 생계비지원은 한 달에 40만9000원이다. 불법 체류인의 가족은 가족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가족이 굶어야 할까 아니면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격리조치를 무시할까의 선택이라면 당신은 어떻게 했을까. 이들의 ‘시민의식’을 탓할 것인가. 이주노동자들은 시민이 아니었고 지금도 아니다. 시민의식을 요구하려면 먼저 시민권을 주어야 한다.
다른 격리자들도 우리에게는 몇 천 명이라는 숫자로만 다가온다. 또 제대로 격리되고 있는지만 관심사다. 그러나 과연 집에서 2미터 이상 떨어져서 화장실도 따로 쓸 수 있는 사람이 우리사회에 얼마나 될까. 독거노인들이 자가격리되면 밥이라도 제때 드실 수 있을까. 자가격리할 형편이 안된다면 정부는 이들에게 적절한 시설을 제공해야 한다. 그런데 시설격리자들이 머무는 곳에 청소할 사람이 없다는 이야기까지 들려온다. 적절한 방호조치 없이 누가 청소를 하러 들어가겠는가.
지금 나는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해있거나 다니던 환자들도 걱정이다. 메르스 환자들만 입원해 있는 것이 아니다. 초대형 병원인 삼성서울병원에는 다른 중환자들도 많고 암 수술을 받아야 할 사람들도 많다. 그들은 지금 다른 병원에 가고 싶어도 갈 수가 없다. 137번째 환자가 병동들을 돌아다녔는데 다른 병원들이 삼성병원 환자를 받으려 할까. 또 삼성서울병원의 많은 의료진이 격리되어 있다. 남은 의료진들은 수십명의 메르스 환자도 치료해야 하고 다른 환자들도 봐야 한다. 지금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해 있는 환자들은, 그리고 이 환자들을 간병해야 하는 가족들은 어떤 심정일까.
연 1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이른바 ‘빅 5’ 대형병원들. 이들은 몸집 불리기 전쟁인 ‘의료군비경쟁’을 통해 지금의 초대형 병원들이 되었다. 지금 이 병원들의 하나인 삼성병원이 메르스에 당하다 보니 이 병원은 너무 덩치가 커 격리를 할 수도 없다. 이런 초대형 사립병원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애초에 정부가 ‘병상허가제’를 통해 병원 병상을 통제했다면 어땠을까.
또 정부가 삼성서울병원에 임시로 공공병원의 의료진들을 파견한다면 어떨까. 하지만 지금 한국의 병원 중 6%밖에 안되는 공공병원들은 다른 메르스 환자를 받느라고 이미 능력 이상의 일을 하고 있다. 초대형 병원 하나가 메르스에 무너지니 한국의 공중방역 체계 전체가 무너졌다. 그리고 그 안에는 지금 환자들이 있다.
잊혀진 사람들이 우리 주변 곳곳에 있었다. 그리고 그들 모두가 평등하게 보호받지 못하면 우리도 안전하지 못하다.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바이러스가 한국의 허약한 공공의료체계, 한국사회의 불평등의 민낯을 드러내고 있다.
2015.06.17 <우석균 |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위원장·의사>